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오스시세 전망 업데이트

by inside12 2021. 8. 22.
반응형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코인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오늘 다룰 코인은 바로 이오스 입니다. eos가 어떤 암호화폐이고 시세는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고 살펴봅시다.

 

이오스시세 전망 업데이트

대표발기인은 한국 가상자산 거래소의 bp 투표를 이끌어냄으로써 한국 토큰홀더 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한다며 한이연 설립 배경을 밝혔다고한다. 

최근 몇 달 사이에 가상자산 시장에 큰 변화가생겼다고 한다. 국내 투자 열기가 다시 뜨거워지면서 한국 거래소인 업비트가 eos 대량 보유자 반열에 오른것 이라고 한다.

 

국내 이오스 투자자 단체출범?

국내 이오스(EOS) 투자자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단체가 설립됐다.이오스 블록체인은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운영된다.

 

우선 PoS란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해 블록 생성에 기여하고, 그 보상으로 다시 코인을 받는 합의 알고리즘을 말한다. 여기에 ‘Delegated(위임)’가 적용된 DPoS는 지분(코인)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블록 생성에 기여한다. 간접 민주주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지분을 위임받아 블록을 생성하는 사람 혹은 팀을 ‘블록프로듀서(Block Producer, BP)’라고 한다. 그동안 이오스는 BP 투표에서 많은 논란을 겪었다. 가상자산 EOS 보유자들의 투표로 21명의 BP가 선정되는데, 이 과정에서 투표가 공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코인을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건 주로 거래소들이므로 BP 투표에서 거래소들이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이 매우 커졌다. 이에 BP들은 거래소들의 표를 받기 위해 표를 사들이기 시작했고, 거래소들도 잠재력 있는 BP를 뽑기보다 눈앞의 이익에 치중하면서 근시안적인 투표를 반복했다.

그런데 최근 몇 달 사이 가상자산 시장에 변화가 생겼다. 국내 투자 열기가 다시 뜨거워지면서 한국 거래소인 업비트가 EOS 대량 보유자 반열에 오른 것. 업비트 지갑에 보관된 고객 소유 EOS는 전체 발행량 10억개 가운데 약 1억1400만 개다.

 

단일 지갑에 보관된 EOS 규모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다. 만약 업비트를 비롯한 한국 거래소들이 보관 중인 EOS로 제대로 된 투표를 한다면 이오스의 블록체인 생태계가 다시 나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한이연은 한국 거래소들과 협업해, 거래소들이 ‘매표’에 가담하지 않는 방식으로 BP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거래소들이 투표에 참여할 경우 고객 소유 EOS를 이용하게 되므로 고객의 동의는 받아야 할 전망이다.

류 대표발기인은 “만약 업비트나 한국 거래소가 매표를 안하는 걸 조건으로 투표를 한다면 이오스 생태계 및 국내 커뮤니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업비트가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선언을 했는데, 만약 한이연과 협력한다면 ESG 평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현재 한이연은 이 같은 의견을 업비트에 전달했으며, 업비트로부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전달받았다. 업비트 외 코인원, 코빗 등 다른 거래소의 BP 투표 역시 염두에 두겠다는 게 한이연 측 설명이다.

 

BP 투표 외에도 한이연은 이오스 토큰홀더의 권익 대변을 위한 대관 홍보 토큰홀더 교육 및 인플루언서 양성 이오스 블록체인 상에서 운영되는 탈중앙화 커뮤니티 ‘에덴’ 활성화 등 이오스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한편 한이연 발기인단에는 이날 발표를 맡은 류한석 대표발기인(노드원 대표) 외에도 이강욱 KNK특허법률사무소 대표변리사, 이기호 건국대 블록체인 전공 겸임교수, 이준 보이스잇츠 대표, 이진태 크리머 뉴스채널 운영자, 조정희 VIGOR 프로토콜 커스토디언, 장재익 이오스 장기투자자 그룹 운영자, 채민성 법무법인 리인 변호사 등 9명이 참여했다.

 

또 이오스 창시자인 댄 라리머(Dan Larimer)를 비롯해 윤종수 법무법인 광장 파트너변호사, 김형중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특임교수가 고문으로 합류했다.

댄 라리머 창시자는 “한이연을 통해 한국 커뮤니티의 결집된 힘이 이오스 커뮤니티의 탈중앙화 거버넌스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리라 믿는다”고 전했다.

 

이오스 1위

중국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中国电子信息产业发展研究院, CCID)이 발표한 ‘25차 퍼블릭체인 평가’에 따르면, 이오스(EOS)가 재차 1위를 차지했다. 시가총액 1위 암호화폐(가상자산) 비트코인(比特币, BTC)은 11위에 그쳤다.

 

중국전자보(中国电子报)에 따르면,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 산하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CCID)은 다수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검토해 '제 25기 CCID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평가 지수(赛迪全球公有链技术评估指数, 第25期)'를 발표했다. 그 결과 총점 149.8점을 받은 이오스(EOS)가 1위로 선정됐다.

이어 이더리움(以太坊, ETH)과 트론(波场, TRON), 이오스트(IOST), 테조스(Tezos)가 141.0, 136.9, 131.4, 120.5점을 각각 받아 2~5위를 차지했다. 6위부터 10위는 리스크(LISK, 应用链), 스텔라(恒星链, Stellar), 네오(NEO), GXS(公信链) 순이었다. 부문별로는 응용성(应用性, Applicability)은 이더리움, 기초 기술(基础技术, Basic-tech)은 이오스트, 독창성(创新力, Creativity)은 비트코인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이더리움 킬러 이오스 차트분석하기

EOS 토큰이 사용되는 블록체인 플랫폼 이오스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지원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미리 정해진 조건이 달성되면 자동적으로 계약이 이뤄지게 하기 때문에 중앙화 된 서버가 없는 디앱(DApp·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즉 이오스 플랫폼 위에선 디앱 개발과 구동이 가능하죠. 디앱레이더에서는 이오스에서 어떤 디앱이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요. 리스트에 나와있는 디앱의 개수는 18일 기준 575개지만 지난 24시간 동안 활동한 유저 수나 거래량이 모두 0인 것으로 나타나는 유령 디앱도 꽤 확인됩니다.

상위권에 있는 디앱의 경우 대부분이 게임이나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관련 앱인데요. 이중 1위를 차지한 업랜드(Upland)를 살펴보면, 현실 세계의 주소와 동일하게 지도에 표기돼 있는 가상의 토지를 매매할 수 있는 메타버스 게임이라고 하네요.

 

이오스 개발사인 블록원(Block.one)은 2018년 이오스 자체 메인넷을 론칭하면서 ‘이더리움 킬러’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더리움의 고질적인 문제인 높은 트랙잭션 수수료와 느린 처리 속도를 해결하고자 했는데요.

합의 알고리즘을 지분증명방식(PoS)이 아니라 위임지분증명방식(DPoS)로 바꾸는 게 한 방법이었습니다.DPoS 합의 방식에 따라 EOS 홀더들은 각자의 EOS 보유량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해 자신의 대표자를 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선정된 21명의 대표자들에게 블록 생성 등 의사 결정 권한을 위임하는 겁니다. 이 대표자들이 블록을 만들기 때문에 이들을 ‘블록 프로듀서(Block Producer)', 줄여서 BP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투표를 통해 대표자를 선출하는 방식이 현대 대의 민주주의와 유사해 이오스가 ‘토큰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반면 21명의 대표자들에게 모든 결정을 위임하는 건 블록체인의 기본 정신인 탈중앙화 가치를 훼손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이런 갑론을박 속에서 확실한 건 이런 합의 알고리즘이 매우 실용적이라는 겁니다. 투표를 통해 선출된 21개의 BP만 거래를 검증하면 되기 때문에 거래 처리 속도가 기존 방식에 비해 매우 빠릅니다.

 

또 전송 수수료도 무료입니다. PoS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이더리움의 경우 검증 노드 들은 이더리움 네트워크 사용자가 지불하는 트랜잭션 수수료, 즉 가스비를 보상으로 받습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내야 하는 최적의 수수료는 따로 정해지지 않는데요. 그래서 사용자가 어림짐작해 수수료를 적어내 베팅하는 방식으로 수수료가 책정됐습니다. 또 만약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가 너무 몰리면 수수료가 치솟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오스에선 BP 21명이 이 검증을 전담합니다. 따라서 검증에 대한 보상은 사용자가 지불하는 수수료가 아니라 EOS 발행량의 일부분을 나눠갖는 방식으로 지급됩니다.이렇게 빠르고 수수료 낼 필요 없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오스는 이더리움 킬러로 주목받았는데요.

 

2017년에서 2018년에 걸쳐 진행된 EOS 암호화폐공개(ICO)는 총 40억 달러가 넘는 역대 최대 규모로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성공적인 출발에도 불구하고 EOS는 ICO 당시 찍었던 최고가를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EOS 차트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함께 살펴봅시다.주봉으로 전반적인 차트를 보겠습니다.

EOS가 업비트에 상장됐던 2018년 4월 초반 가격이 곧바로 치솟아 최고가인 2만 5,170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급락을 거듭해 2018년 말에는 1,745원까지 떨어졌는데요.

 

다음 해인 2019년 상반기 잠시 반등해 1만원선을 회복합니다. 하지만 상승세를 이어가지는 못합니다. 작년까지 3,000~4,000원에서 머물렀는데요. 올해 초 다시 크게 오릅니다.

 

1만 8,900원까지 상승합니다. 이후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를 따라 가격이 내려 19일 오전 11시 44분 기준 5,8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출시 당시 시장의 큰 기대를 받았던 EOS가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여러 법률 이슈들로 인해 투자 불안성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EOS ICO에 문제를 제기해왔는데요.

 

미국 증권법에 따르면 ICO를 진행할 때 발행될 암호화폐를 먼저 증권으로 등록해야 하는데 블록원이 정식 등록을 거치지 않은 채로 ICO를 진행했고, 투자자들에게도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혐의입니다. 결국 지난 2019년 9월 SEC는 블록원이 미등록 ICO를 진행했다며 벌금 2,400만 달러(약 280억 원)를 부과했습니다.

투자금으로 모인 약 40억 달러의 금액에 비해선 매우 적은 벌금을 내게 되면서 결국 ICO를 둘러싼 논쟁은 일단락되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도 이와 관련해 투자자들의 집단소송에 맞닥뜨리게 되는 등 소송전에 끊임없이 휘말리게 됩니다. 2019년 초반 EOS는 반짝 상승세를 보입니다.

 

지금은 블록원에서 사임한 이오스 창시자 댄 라리머(Dan Larimer)가 3월 이오스 텔레그램 커뮤니티에 “6월까지 다양한 업데이트 일정이 준비돼 있다”며 “6월은 이오스아이오 최고의 한 달이 될 것”이라고 밝히는 등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오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블록원은 6월 이오스 블록체인 기반 SNS 플랫폼 보이스(Voice)를 만들겠다는 당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아직까지 정식 버전은 서비스 되지 않고 있는데요. 이런 발표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가격이 꺾여버립니다.

 

이후 집단 소송 등 이슈를 맞닥뜨리면서 가격이 쉽사리 회복되지 않았는데요.그러다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개발사 블록원이 이오스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쉬(Bullish)를 올해 연말 출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데 따른 영향입니다.

당시 블록원은 이미 거래소 출범을 위해 100억 달러 규모를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히기도 하면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과연 이오스가 진정한 이더리움 킬러로 발돋움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다이나믹한 행보를 지켜봅시다.

 

이 글과 함께 보기좋은정보

도지코인시세 전망 업데이트

 

도지코인시세 전망 업데이트

요즘 갑자기 급등하고있는 도지코인 그 이유를 파해지고 전망을 업데이트 해드리겠습니다!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에서 암호화폐로 많이 갈아탔다는 소식이 들려오네요! 도지코인시세 전망

pokercar001.tistory.com

리플시세 전망 현황

 

리플시세 전망 현황

코인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리플시세가 계속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19일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를 보면 오후부터 리플은 전일대비 2.77%오른 현재 리플코인시세가 1336원 이라고 합니다. 그래

pokercar001.tistory.com

지금까지 이오스시세 전망 업데이트를 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